젠킨스 설치
Jenkins 설치
젠킨스란?
-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
- Continuous Integration
젠킨스가 하는 역할은 깃헙혹은 빗버킷에 올라가있는 소스를 빌드해주고, 해당 소스를 컴파일 해주어서, 오류를 감지하고, 또 테스트 자동화와 맞물려 사용이 가능하며, 개발 서버나 운영 서버에 배포까지 해주는 절차가 가능하다.
젠킨스의 장점
- 표준 컴파일 환경 - 빌드 테스트
- 자바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의 빌드 테스트 환경을 맞출수 있다.
- 다영한 언어를 지원하고, 설치해서 해당 컴파일 환경들을 만들수가 있다.
- 정적 코드 분석을 통해 코딩 규약 준수 여부 체크
- 다양한 테스트 환경에 대하여 배포작업을 연결 할수 있다.
- 빌드 타임을 비롯해서, 실행 시간의 변화등 성능 변화 또한 감지 할수 있다.
젠킨스 설치 방법
- 서버에 직접 설치(Docker 활용)
- 로컬 호스트에 설치
지라, 지라 컨플루언스, 빗버킷과 마찬가지로, 설치 방법은 다양하며 AWS나 자체 운영 서버에 설치 가능하다.
젠킨스 로컬 호스트 설치
https://www.jenkins.io/ 접속하여 Download 클릭한다.
가장 안정적인 Stable(LTS) 버전을 받으며 각 사용하는 OS에 맞게 설치한다. 본인은 MacOS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.
MacOS인 경우 brew install을 통해서 터미널을 통해서 설치 한다.
brew install jenkins-lts
이미 설치되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.
Mac 에서는 위의 화면처럼 젠킨스를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몇가지 있다.
- Brew 인스톨을 통해서 설치하는 방법.
- 맥의 로컬에서는 Jenkins 를 brew를 통해 설치하고 실행할 경우 빌드 시 권한 문제가 발생된다. 따라서 패키지를 다운 받아서 설치 해서,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.
젠킨스 설치
설치가 완료 되면 이렇게 젠킨스의 키를 입력하라는 화면이 나온다.
빨간색 으로 표기된 부분이 이런 키가 들어있는 폴더와 파일 위치다.
vi /Users/zidol/.jenkins/secrets/initalAdminpassword
위 명령어를 통해 password를 붙여넣어준다.
위 세 단계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대시보드가 나온다.(한개 프로젝트 미리 만들어진 상황)
젠킨스 설정은 다음 포스팅에…
참조
fastcampus - AWS & Docker 클라우드 서버구축 배진호강사님 강의